제 목 : 아동의 발달 반사 | 조회수 : 6243 |
작성자 : 관리자 | 작성일 : 2017-06-20 |
모로 반사 (moro reflex)
-반사유도자극과 반응 : 양팔을 들었다가 갑자기 놓거나 놀라게 하면 일반적인 반응으로 포옹자세를 취하며 양팔과 다리를 뻗치고 손가락을 편다. 이 반사는 대칭적이다.
-연 령 : 0 ~ 4개월
란다우 반사 (Landau reflex)
-반사유도자극과 반응 : 엎드려 누운 자세에서 가슴을 받쳐 들고 공중으로 들어 올리면 등과 다리가 펴지게 된다.
-연 령 : 6개월 ~ 2세 2/1
보호신전 반사 (Protective extension)
-반사유도자극과 반응 : 넘어질 때 몸을 보호하기 위해 양팔을 뻗는다.
-연 령 : 6개월 ~ 평생
굽힘회피 반사 (Flexor withdrawal)
-반사유도자극과 반응 : 바로 누운 자세에서 머리는 중앙에 두고 다리를 편 상태에서 발바닥에 자극을 주면 자극받은 다리가 반사적으로 구부려지는 반응이다.
-연 령 : 0 ~ 2개월
폄밀기 반사 (Extensor thrust)
-반사유도자극과 반응 : 바로 누운 자세에서 머리를 중앙에 둔 채 한쪽 다리는 굽히고, 다른 쪽 다리는 편 상태에서 구부려진 다리의 발바닥에 압박을 가하면 자극받은 다리가 반사적으로 펴지게 되는 반응이다.
-연 령 : 0 ~ 2개월
교차성 폄 반사 (Crossed extension)
-반사유도자극과 반응 : 바로 누운 아이의 한쪽 다리를 펴서 붙잡아 고정시키고 발바닥 에 아픈 자극을 주면 반대쪽 다리를 구부렸다가 펴면서 내전하여 마치 아픈 자극을 제거하려는 것처럼 보이는 반응이다.
-연 령 : 0 ~ 2개월
비대칭성 긴장성 목반사 (Asymmetrical Tonic Neck Reflex ; ATNR)
-반사유도자극과 반응 : 목을 좌우로 돌릴 때 일어나는 반사행동으로 이 반사행동의 특징은 얼굴 쪽의 팔다리는 신전되고, 반대쪽의 팔다리는 수축되는 것이다.
-연 령 : 0 ~ 4 ․ 6개월
대칭성 긴장성 목반사 (Symmetrical Tonic Neck Reflex ; STNR)
-반사유도자극과 반응 : 머리의 신전 및 굴곡에 의해 일어나는 반사행동으로 신생아의 머리를 굴곡 시킬 경우, 팔은 굽어지고 다리는 펴지게 된다. 반대로 머리를 들어 신전시켰을 경우, 팔은 펴지고 다리는 굴곡 된다.
이 원시반사가 억제되지 않으면 아기는 엎드린 자세에서 팔로 바닥으로부터 가슴을 밀어내거나 머리를 바닥에서 드는 행동을 하지 못하며 보행활동을 할 수 없게 된다.
-연 령: 0 ~ 4 ․ 6개월
긴장성 미로 반사 (Tonic Labyrinthine Reflex ; TLR)
-반사유도자극과 반응 : 신생아가 등을 대고 눕거나 배를 대고 엎드린 상태에서 일어나는 반사행동으로 엎드려 있을 경우 몸 전체적으로 과도한 굴곡을 일으키며 누워있는 상태에서는 신체가 신전된다.
긴장성미로반사가 지속되면 머리 들기, 구르기, 자세유지 그리고 몸의 중심선으로 손을 가져가는 움직임을 방해한다.
-연 령 : 0 ~ 4 ․ 6개월
양성 지지 반응 (Positive support reaction)
-반사유도자극과 반응 : 아이의 겨드랑이 부위를 붙잡아 세워 바닥에 발이 닿도록 하면 아이가 체중을 지탱하려고 다리를 펴는 반응을 보인다.
-연 령 : 0 ~ 8개월
연합반응 (Associated reaction)
-반사유도자극과 반응 : 손에 물체를 꽉 쥐어주거나 어떤 움직임에 대해 저항을 주면 다른 쪽 손에서 같은 움직임이 나타난다.
-연 령 : 성숙지연
목 정위 반응 (Neck righting)
-반사유도자극과 반응 : 아이의 목을 한쪽으로 돌리면 몸 전체가 통나무처럼 회전해 버리는 반응이다.
-연 령 : 0 ~ 6개월
체간 정위 반응 (Body righting acting on body)
-반사유도자극과 반응 :
· 아기를 바로 눕힌 자세에서 머리를 가운데 두고, 팔 다리는 자연스럽게 펴도록 한 후, 아
기 스스로, 혹은 검사자가 한쪽 방향으로 머리를 돌린다.
· 양성반응은 생후 6개월 경에 나타나 18개월까지 지속된다. 생후 이후 음성 반응이 나타 나면 반사 성숙의 지연을 의미하게 된다.
· 음성반응 : 전체적인 몸통 회전이 목 정위 반사처럼 나타나지만 분절 형태는 아니다.
· 양성반응 : 머리가 돌아간 방향으로 어깨가 먼저 돌아가고, 이어서 최종적으로 골반이 돌
아간다.
-연 령 : 6 ~ 18개월
미로 정위 반응 (Labyrinthine righting acting on head)
-반사유도자극과 반응 :
① · 아기의 눈을 가리고 엎드린 자세로 들어올린다. (공간에서 엎드린 환자 자세 그 자체 가 자극)
· 이때 머리가 떨구어진 채로 있어야 하는데, 바른 자세를 취하려고 머리를 들며 얼굴 을 바로 세우며 입을 수평으로 다물게 되면 비정상적인 반응이라 한다.
· 정상아는 양성반응이 생후 1내지 2개월부터 나타나 일생동안 지속되지만 이 시기가 지나도 음성반응이 나타난다면 반사 성숙의 지연을 의미하게 된다.
② · 아기의 눈을 가리고 바로 누운 자세로 들어올린다. (공간에서 바로 누운 환자 자세 그 자체가 자극이 된다. )
· 바른 자세를 취하려고 머리를 꼿꼿이 세우며 입을 수평으로 다물게 되면 비정상적인 반응이라 한다.
· 정상아는 비정상적인 반응이 생후 6개월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일평생 지속된다.
하지만, 생후 6개월이 지난 후, 머리를 가만히 두고 있으면, 반사 성숙지연을 의미.
③ · 아기의 눈을 가리고 골반부위를 잡고 그대로 들어올린 후, 왼쪽 or 오른쪽으로 기울 인다.
· 정상아는 바른 자세를 취하려고 머리를 꼿꼿이 세우며 입을 수평으로 다물려고 하는 반응이 생후 6내지 8개월부터 나타나 일생동안 지속된다.
· 그러나 생후 8개월 이후에도 머리를 바로 세우지 못한다면 반사 성숙의 지연을 의미 한다.
-연 령 : 엎드려 누운 자세 - 2개월 ~ 평생
그 외 자세 - 6개월 ~ 평생
시각정위반응 (Opting righting)
-반사유도자극과 반응 :
① · 엎드린 자세로 들어올린다.(공간에서 엎드린 환자 자세 그 자체가 자극이 된다.)
· 정상아는 생후 1내지 2개월 이후에 나타나는 미로 정위반사 후에, 곧 시각 정위반사 가 나타나 일생동안 지속된다.
· 생후 2개월이 지나도록 음성반응만 나타난다면 성숙의 지연을 의미하게 된다.
· 음성반응 : 바른 자세를 취하기 위한, 자연스럽게 머리를 들고자 함이 없다.
· 양성반응 : 바른 자세를 취하려고 머리를 들어 올리고 얼굴을 바로 세워 앞으로 보려 하며, 입을 수평으로 다문다.
② · 아기를 바로 눕힌 자세로 들어올린다. (이때 검사 자체가 자극이 된다. )
· 정상아는 양성반응이 생후 6개월에서부터 일생동안 지속된다. 생후 6개월 이후의 음 성 반응은 반사성숙의 지연을 의미한다.
· 음성반응 : 머리를 일으켜 세우지 않는다.
· 양성반응 : 바른 자세를 취하려고 반사적으로 머리를 들며, 입을 수평으로 다문다.
③ · 아기의 골반부위를 잡고 그대로 들어 올린 후, 오른쪽 or 왼쪽으로 기울인다.
· 정상아에 있어서는 양성반응이 생후 6내지 8개월부터 나타나 평생 지속되지만, 생후 8개월 이후에도 음성반응이 나타난다면 반사성숙의 지연을 의미하게 된다.
· 음성반응 : 환자 스스로 머리를 바르게 세우지 못한다.
· 양성반응 : 바른 자세를 취하려고 머리를 들어 올리고 얼굴을 바로 세워 앞으로 보려 하며, 입을 수평으로 다문다.
-연 령 : 엎드려 누운 자세 - 2개월 ~ 평생
그 외 자세 - 6개월 ~ 평생
평형 반응 (Equilibrium reaction)
-반사유도자극과 반응 : 아동을 각 연령과 수행수준에 맞게 엎드린 자세, 네발기기자세, 앉은 자세, 무릎으로 선 자세, 또는 두발로 선 자세를 취하게 하여 균형이 흐트러질 정도로 지지면 또는 검사대상자를 흔들어 머리와 몸을 정위시키고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자동적 움직임이 나타나는 반응이다.
-연 령 : 엎드려 누운 자세 - 6개월 ~ 평생
네발기기자세 - 9 ․ 12개월 ~ 평생
앉은 자세 - 6개월 ~ 평생
무릎으로 선 자세 - 15개월 ~ 평생
두발로 선 자세 - 15개월 ~ 평생
파악 반사(grasp reflex)
-반사유도자극과 반응 : 아기의 손바닥을 검지 손가락으로 건드리면 꽉 붙잡고 놓지 않는다. 그리고 발바닥을 발뒤꿈치에서 앞으로 건드리면 발가락을 오므린다.
-연 령 : 0 ~ 3 ․ 4개월
바빈스키 반사 (Babinski reflex)
-반사유도자극과 반응 : 발바닥의 외면을 발꿈치에서 발가락 쪽으로 가볍게 긁으면 엄지발가락은 발등쪽으로 구부리고 나머지 발가락은 부채살처럼 펴지는 반응을 보인다.
-연 령 : 0 ~ 3 ․ 4개월
포유반사 (Rooting reflex)
-반사유도자극과 반응 : 아기의 입가를 손가락으로 자극하면 그쪽으로 머리를 돌리고, 젖을 뺨에 대면 젖꼭지를 찾아 입을 벌린다.
-연 령 : 깨어 있을 때는 생후 3~4개월, 잠잘 때는 7~8개월에 소실된다.
빨기 반사 (Sucking reflex)
-반사유도자극과 반응 : 젖꼭지로 입을 자극하면 빤다.
-연 령 : 생후 6개월에 감소하기 시작한다. 출생 후 자극이 없으면 소실된다.
연하반사 (Swallowing reflex)
-반사유도자극과 반응 : 음식물이 구강 후부에 닿으면 삼킨다.
-연 령 : 평생
보행반사 (Stepping reflex)
-반사유도자극과 반응 : 아기를 바로 세운 자세로 붙잡고 발바닥이 바닥에 닿게 하면, 마치 걷는 듯한 운동 반응을 보인다.
-연 령 : 생후 3~4주 후에 소실되고, 의도적인 움직임으로 대체된다.
견인 반사 (Traction reaction)
-반사유도자극과 반응 : 아기의 양손을 붙잡고 누운 자세로부터 45도 정도 일으키면, 처음에는 머리가 뒤로 쳐지지만, 상체를 바로 세워 주면 머리를 앞으로 수그렸다가 잠시 머리를 고정시킬수 있다.
-연 령 : 생후 4개월경 소실
발 내딛기 반사 (Placing reflex)
-반사유도자극과 반응 : 아기를 세운 자세로 쳐들고 아기의 발등을 책상 모서리에 닿 게 하면, 그 다리를 구부려 발을 책상 위에 올려놓는 듯한 반응을 보인다.
-연 령 : 생후 6주경 소실
체간만곡 반사
-반사유도자극과 반응 : 척수를 따라 한쪽으로 자극을 주면 자극을 받은 쪽으로 등을 구부린다.
-연 령 : 생후 4주에 소실된다.
이전글 : 정상아동 발달단계 | |
다음글 : 자아존중감 척도 | |
이전글 다음글 | 목록보기 |